2분기 상장사 실적 대해부
폐교 대학을 청산한 뒤 남은 재산이 있으면 따로 모아뒀다가 다른 폐교 대학을 지원하는 데 쓰겠다는 구상이다.
이 학교 학생과 교직원도 예외는 아니었다.그는 평가를 통해 옥석을 가린 뒤 건실한 지방대학에는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학교 재단 입장에선 스스로 폐교를 선택할 만한 인센티브가 별로 없다.폐교 후 학교 재산을 팔아 빚을 다 갚고도 남는 돈이 있으면 그중 30% 한도에서 학교 재단 경영진에게 줄 수 있다고 규정했다.한국국제대에선 상당수 현직 교원도 파산 신청에 참여했다.
다만 폐교 재단의 입장에서 한 푼도 가져가지 못하는 건 이전과 마찬가지다.여기에 전기·수도요금 등 밀린 공과금도 10억원에 이른다.
최소한의 학사 운영조차 힘겨운 상태였다.
그전에는 교육부가 강제 폐쇄를 명령하거나 학교 재단이 자진 폐교를 결정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이러한 상황은 교육부와 사립학교 재단의 소모전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주정완 기자 한국국제대의 역사는 4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021년 이후에는 법원의 파산 선고가 새로운 형태의 폐교 방법으로 등장했다.
남은 교수들은 법원의 파산 선고 이후 무보수를 감수할 테니 2학기까지는 수업을 진행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이들이 임금 체불을 당했다고 신고한 금액은 약 100억원이다.